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8   »
1 2
3 4 5 6 7 8 9
10 11 12 13 14 15 16
17 18 19 20 21 22 23
24 25 26 27 28 29 30
31
Tags 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별일없는하루연구소

🌍 세계의 독특한 미신 10가지 본문

이런저런 이야기/오싹하고 신비로운 미신 이야기

🌍 세계의 독특한 미신 10가지

퇴근후지구인 2025. 8. 11. 12:00

 

세계의 독특한 미신 10가지

 

1. 이탈리아 – 금요일 17일은 불운한 날

기원:
이탈리아에서는 숫자 17을 불길하게 여긴다. 로마 숫자 XVII를 재배열하면 ‘VIXI’가 되는데, 이는 라틴어로 ‘나는 살았다’라는 과거 시제 표현이며, ‘이미 살았으니 이제 죽는다’라는 의미로 해석된다. 중세 이후 이 표현은 묘비명에 자주 쓰이며 죽음을 상징하게 됐다.

민속학적 의미:
이탈리아 문화에서는 금요일 자체가 예수의 십자가형이 있었던 날로 불운하게 여겨진다. 여기에 17이라는 숫자가 결합해 금요일 17일은 특히 피해야 할 날로 인식됐다. 결혼식, 장거리 여행, 중요한 계약을 피하는 날로 여겼다.

현대 해석:
오늘날에도 일부 이탈리아인들은 이 날을 꺼리지만, 젊은 세대는 미신을 가볍게 여기는 경향이 있다. 그러나 항공사나 호텔에서 17번 좌석, 객실 번호를 제외하는 경우가 아직 존재한다.


2. 일본 – 숫자 4와 9 금기

기원:
일본에서는 숫자 4(시)와 9(쿠)를 불길하게 여긴다. ‘시’는 일본어로 ‘죽음(死)’, ‘쿠’는 ‘고통(苦)’과 발음이 같아 좋지 않은 의미를 담고 있다.

민속학적 의미:
병원 병실, 호텔 객실, 아파트 호수 등에서 4번과 9번을 피하는 문화가 생겼다. 결혼식 날짜나 출산일을 잡을 때도 이 숫자를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.

현대 해석:
젊은 세대는 점차 미신을 신경 쓰지 않지만, 부동산·호텔 업계에서는 여전히 이런 숫자를 기피하는 관습을 반영해 번호를 조정한다.


3. 중국 – 빨간 속옷을 입으면 행운

기원:
중국에서 빨간색은 부, 복, 기쁨을 상징한다. 설날, 결혼식, 생일 등 경사스러운 날에 빨간 옷을 입는 풍습은 수천 년 동안 이어져 왔다.

민속학적 의미:
특히 새해 첫날이나 자신의 띠 해(本命年)에는 빨간 속옷을 입으면 액운을 막고 재물운이 오른다고 믿는다. 이는 붉은색이 잡귀를 물리치고 양기를 강하게 만든다는 중국 전통 색채관에서 기인한다.

현대 해석:
패션과 실용성 측면에서 빨간 속옷이 일상화되진 않았지만, 명절 시즌에는 관련 상품이 불티나게 팔린다.


4. 러시아 – 손에 가방을 올리면 돈이 샌다

기원:
러시아 전통에서는 가방은 재물을 담는 그릇과 같다고 여겼다. 이를 손에 들고 흔들거나 무릎 위에 올려놓는 것은 재물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는 것으로 해석됐다.

민속학적 의미:
특히 여성들이 장바구니나 돈주머니를 바닥이 아닌 다른 곳에 올려두면 ‘돈이 흩어진다’고 믿었다. 따라서 가방은 바닥이나 안정된 위치에 두는 것이 재물 보존의 기본으로 여겨졌다.

현대 해석:
실용적으로도 가방을 바닥에 두면 물건을 꺼내고 정리하기 편하다. 일부 러시아인들은 지금도 이 미신을 무의식적으로 지킨다.


5. 터키 – 밤에 껌을 씹으면 귀신이 따라온다

기원:
터키에서는 밤에 껌을 씹으면 썩은 고기를 씹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. 이는 죽음과 부패를 상징하며, 악령이나 귀신을 불러들인다고 믿었다.

민속학적 의미:
밤은 죽은 자의 시간이자 음기가 강한 때다. 이때 껌을 씹는 행위는 부정한 기운을 불러오는 부적절한 행동으로 여겨졌다.

현대 해석:
오늘날 젊은 세대는 미신적 의미보다 ‘밤에 껌 씹는 모습이 보기 좋지 않다’는 사회적 인식 때문에 자제하는 경우가 많다.


6. 필리핀 – 식탁 모서리에 앉으면 결혼이 늦어진다

기원:
필리핀에서는 식탁의 모서리를 ‘모난 운’의 상징으로 본다. 모서리에 앉으면 사람의 운세가 꺾이고 결혼운이 늦어진다고 믿었다.

민속학적 의미:
이 미신은 결혼 적령기의 자녀에게 특정 자리를 피하게 하는 교육적 의미도 있었다.

현대 해석:
과학적 근거는 없지만, 필리핀 가정에서는 모서리 자리보다 중앙 자리를 선호하는 경향이 여전히 남아 있다.


7. 인도 – 눈썹이 가려우면 돈이 들어온다

기원:
인도에서는 신체의 특정 부위 가려움이 미래 사건의 징조라고 본다. 눈썹 가려움은 금전운과 연결됐다.

민속학적 의미:
오른쪽 눈썹이 가려우면 남성에게, 왼쪽 눈썹이 가려우면 여성에게 재물운이 들어온다고 해석했다.

현대 해석:
피부 질환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지만, 여전히 농담처럼 쓰인다.


8. 브라질 – 검은 고양이가 오른쪽에서 나타나면 행운

기원:
서양에서는 검은 고양이가 불운의 상징이지만, 브라질에서는 반대로 행운의 상징이 된다.

민속학적 의미:
오른쪽 방향은 길조를 의미하며, 검은 고양이가 오른쪽에서 나타나면 행운이 찾아온다고 믿는다.

현대 해석:
브라질에서는 길에서 만난 검은 고양이를 피하기보다 반기는 문화가 있다.


9. 영국 – 말편자를 걸어두면 행운

기원:
중세 유럽에서 말편자는 귀한 금속으로 만들어져 부와 힘을 상징했다. 또한 금속이 악귀를 쫓는다고 믿었다.

민속학적 의미:
집 문 위에 말편자를 걸어두면 재물과 행운이 들어오고, 악령이 들어오지 못한다고 여겼다.

현대 해석:
지금도 농가나 시골 주택에서 말편자를 장식용 겸 부적으로 걸어두는 경우가 많다.


10. 그리스 – 빵을 거꾸로 두면 불운

기원:
그리스에서 빵은 신의 축복과 생명을 상징한다. 이를 거꾸로 두는 것은 신을 모욕하는 행위로 여겨졌다.

민속학적 의미:
빵을 거꾸로 두면 가정에 불운이 깃들고, 신의 축복이 사라진다고 믿었다.

현대 해석:
일상에서는 단순한 식사 예절로 이어져, 빵을 가지런히 올려놓는 습관이 형성됐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