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북극·설원에서의 저체온증 예방과 대응
    생존기술 2025. 9. 22. 23:21
    반응형

    북극·설원에서의 저체온증 예방과 대응


    저체온증이 생존을 위협하는 이유

    설원이나 극지방에서는 낮에도 기온이 영하 20도 이하로 떨어지며, 체온이 급격히 소모된다.
    인체는 평균 37℃에서 정상적으로 기능하지만, 35℃ 이하로 내려가면 저체온증(Hypothermia)이 발생한다.
    심각한 경우 30℃ 이하에서는 의식 상실, 28℃ 이하에서는 심장 박동 불규칙으로 사망 위험이 높아진다.
    따라서 북극·설원 생존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는 저체온증을 예방하고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다.


    저체온증의 단계별 증상

    체온 범위단계주요 증상
    35–32℃ 경증 떨림, 피부 창백, 의식 혼란 시작
    32–28℃ 중증 떨림 중단, 언어 불명확, 걸음 불안정
    28℃ 이하 심각 무의식, 호흡·맥박 저하, 부정맥

    세계보건기구(WHO)는 “체온 1도 하락마다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한다”고 경고한다.


    열 손실이 발생하는 네 가지 메커니즘

    1. 전도(Conduction) – 차가운 표면과 직접 접촉 (눈 위에 눕는 경우)
    2. 대류(Convection) – 바람에 의해 체온이 빼앗김
    3. 복사(Radiation) – 체온이 외부로 발산
    4. 증발(Evaporation) – 땀·젖은 옷으로 인한 체온 손실

    의복을 통한 체온 보호 원칙

    • 겹겹이 입기(Layering System)
      • 베이스 레이어: 땀 배출 (폴리에스터, 메리노 울)
      • 미드 레이어: 단열 (플리스, 다운)
      • 아우터 레이어: 방풍·방수 (고어텍스 등)
    • 면(Cotton)은 금지: 땀을 흡수하고 마르지 않아 체온 손실 가속
    • 머리·손·발 보호: 열 손실의 50% 이상이 말단에서 발생

    피난처와 보온 환경 만들기

    • 눈굴(Snow Cave): 눈을 파서 내부에 공기층 확보 → 체온 유지
    • 이글루: 전통적 눈집, 내부 온도는 영하 5도 이상 유지 가능
    • 즉석 방풍막: 눈벽·돌벽을 쌓아 바람 차단
    • 단열 바닥: 나뭇가지·낙엽·옷가지로 바닥에 단열층 형성

    음식과 음료를 통한 체온 유지

    • 고열량 식품: 견과류, 초콜릿, 건조육 → 칼로리 연소로 열 발생
    • 따뜻한 물·수프 섭취: 내부 체온 상승 및 탈수 방지
    • 알코올 금지: 혈관 확장으로 일시적 따뜻함은 주지만, 장기적으로 체온 손실 가속

    응급 저체온증 대응법

    1. 젖은 옷은 즉시 교체 → 마른 옷·담요 활용
    2. 따뜻한 음료 제공(알코올·카페인 제외)
    3. 체온이 심각히 낮을 경우 피부 대 피부 접촉으로 열 전달
    4. 의식이 없으면 심폐소생술(CPR) 준비, 무리한 움직임 금지

    실제 극지 생존 사례

    1. 남극 탐험가 어니스트 섀클턴(1915) – 눈굴·보온식 활용, 극한 상황에서도 전원 생존
    2. 노르웨이 스키 탐험대(2006) – 이글루 제작 후 3일간 폭풍을 버팀
    3. 알래스카 조난자(2012) – 젖은 옷 교체·불로 보온, 구조대 도착까지 48시간 생존
    4. 에베레스트 등반가(2019) – 고열량 식품·산소 사용으로 체온 회복 성공
    5. 러시아 시베리아 원주민 사례 – 사슴 가죽 의복으로 영하 40도에서 장기간 생존

    과학적 근거 비교

    방법원리장점단점
    Layering System 공기층 단열 효과적, 조절 용이 의복 필요
    눈굴/이글루 눈의 단열성 내부 온도 상승 제작 체력 소모
    고열량 식품 대사열 증가 즉시 열 발생 자원 필요
    피부 대 피부 직접 열전달 응급 시 효과적 불편·심리적 저항

    저체온증 예방을 위한 행동 규칙

    • 땀 흘릴 정도의 과도한 활동 자제
    • 젖은 옷은 즉시 교체
    • 바람이 강하면 이동 중단 후 피난처 구축
    • 충분한 칼로리·수분 섭취 유지
    • 팀 단위 활동 시 서로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

    북극·설원 생존 체크리스트

    • 보온: Layering System, 머리·손·발 보호
    • 피난처: 눈굴·이글루·방풍벽
    • 식량: 고열량·고지방 식품
    • 물: 눈은 직접 먹지 말고 녹여 섭취
    • 응급: 피부 대 피부 접촉, 따뜻한 음료 제공
    • 구조 신호: 불꽃·연기·반사판 활용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